1. 작은 횡절인각 : 절삭깊이가 작은 사상절삭, 가늘고 긴 피삭재와 무른 소재 등, 기계강성이 작을 때
큰 횡절인각 : 단단하고 발열량이 많은 피삭재, 직경이 큰 황삭가공시, 기계강성이 클 때
횡절인각이 크면 긴 절인 (인서트 팁이 공작물에 닿이는 길이) 때문에 공구수명은 길어지지만 긴 피삭재 가공시
휨 발생하거나 떨림 발생할 가능성이 더 짙다.
2. G84 탭 작업시 Q값 사용할 때 파라미터 5200번 0번이 73기능이고 1번이 84 기능임
3. 절대좌표 표시형태 변경은 파라미터 3104이며 01000000으로 바꾼다. 두번째 자리 숫자가
0으로 되어 있을 경우 절대좌표가 이상하게 표시된다. 1로 바꿀 것
4. 챔퍼, 스폿 드릴, V-홈 밀링 가공시 절삭속도는 얼추 30~60m/min이고 10파이 공구 기준으로 피드는 0.1 정도
5. 페이스밀, 엔드밀 커터는 기존의 절삭조건을 버리고 cnc선반 황삭, 정삭 조건보다 약간 낮추면 될 거 같다.
황삭 180~200 / 정삭 200~230 정도의 개념으로 새로 조건 잡을 것, 황삭 이송은 날당 회전당 이송으로 얼추 F0.2 정도
슬로팅 커터는 대략 페이스 밀이나 엔트밀 보다 조건을 절반 가량 낮춰 잡는 걸로 개념 잡을 것
6.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은 탄소강보다 절삭속도를 2.5~3배 정도 높게 잡으면 무난할 거 같다. 경우에 따라서
더 낮춰야 되는 경우도 있고 높게 잡아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 드릴 파이 작은 것은 3배 정도 잡으면 rpm이 너무
높으므로 이런 경우엔 속도를 더 낮춰야 되고 엔드밀 20파이 가량의 알루미늄 정삭 경우엔 의외로 rpm이 높지
않으므로 3배 이상 더 높게 잡아줘도 무난할 거 같다.
7. 초경 드릴이나 초경 엔드밀 같은 초경 공구는 일반 하이스 공구보다 절삭속도 2배 정도 높게 잡는 걸로 개념 잡을 것,
경우에 따라서 3배 정도 잡아도 괜찮지만 일반적으로 2배 정도로 접근하면 좋을 거 같다.
8. 미터나사, 유니파이 나사, pt, npt, 사다리꼴 모든 나사의 마지막 패스의 절입량이 0.12로 표기되어 있다.
다시말해 최종 정삭량이 0.12라는 말이다. 작은 피치든 큰 피치든 상관없이 0.12로 표기되어 있다 (미쯔비시 카탈로그)
그리고 외경나사가 내경나사보다 총절입량이 조금 더 많다.
9. 0.5 피치는 최초 절입량이 0.3
0.75 피치는 0.35
1 피치는 0.4
1.25 피치는 0.45
1.5 피치는 0.5
1.75 피치는 0.55
2 피치는 0.6
최초 나사절입량은 피치가 한 단계씩 높아질 때 마다 0.05 정도를 더 더해주는 것으로 개념을 잡으면 무난하다.
10. 스테인리스 종류로는 오스테나이트 (300계열) , 페라이트 (430), 마르텐사이트 (410),
석출경화 (630/631), 듀플렉스계 (2205, 2507) 정도로 나눠지며 페라이트와 마르텐사이트는 내식성과 내구성이
좀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하고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석출경화,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가 개발되었다.
마르텐사이트는 강도가 강하다는 눈에 띄는 특징을 지닌다. 316L 의 L은 탄소함유량이 일반 316보다 더 적다는 의미